<모텔전: 눈뜨고 꾸는 꿈> 전시 포스터
<모텔전: 눈뜨고 꾸는 꿈> 전시 포스터





우프의 세 번째 프로젝트 <모텔전: 눈뜨고 꾸는 꿈>은 트라우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슬픔, 더러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내내 그 안에는 수많은 트라우마들이 숨어있었겠지만 이번 호는 트라우마에 대해 더욱 집요하게 이야기 합니다. 그 안으로 들어갑니다. 여기가 어딘지 모르겠는 꿈속, 동굴, 굿판, 암실, 창문이 없는 지하, 고시원, 화장실과 벽에서 계속해서 물이 흐르던 , 습하고 폐쇄적인 자궁, 죽은 것도 것도 아닌 상태로 머무르는 , 장례식, 병실, 정신병자의 선형적이지 않고 조각난 머릿속, 집결지, 그리고 모텔. 모텔로 갑니다.

공포는 모든 이들에게 공평하지 않다. 공포는 항상 계급적으로 분배된다.*

올해 5월 31일 서울 일부 지역에 사이렌이 울리던 새벽에 가방에 카메라와 필름 그리고 물과 식량을 챙기는 동안 드디어… 드디어 일이 벌어졌다고 생각했다.. 공포영화에서 귀신이 나오기 전까지, 범죄 영화에서 범죄자가 피해자를 완전히 찢어발기기 전까지의 공포를 항상 느끼고 사는, 찢어발겨지길, 이번엔 제대로 찢어발겨지길 기다리고 있는 대기실 안에 들어차 있는 차고 넘치는 사람들. 그 후 ‘잘못 보냈음’이라는 재난 문자와 ‘정부의 소통 부족’이라는 타이틀로 보도되는 뉴스들. 그걸 보고 있자니 다시 한번 우리가 대기실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 대기실은 체감온도 37도를 넘나드는 날에도 에어컨이 가동되지 않고, 그 곳의 모든 기계에는 안전장치가 없다. 동료가 사망한 곳에서 동료는 그 시체를 치운다. 또 다른 동료는 일을 하고, 우리 모두는 순서를 기다린다. 밀려오는 분노와 비참함을 몸으로 견뎌낸다. 이미 무엇도 기대하지 않는 삶 속에서. 철장과 거대한 병원에 갇힌 신경쇠약증 환자들을 상대로, 장난삼아 겁을 주고 있다. 우리가 있는 곳을 손가락 하나로 뒤흔들고, 그것도 모자라 얼굴 가까이 무기를 들이밀고, 그것도 모자라 줘 패고 있다. 같은 날 경찰에게 줘 패진 노동자. 약한 사람들은 모두 겁을 먹고 방 속에 처박혀 냄새도 시체도 없이 자살하길 바라는 곳. 깔끔히 숨겨지지 못한 시체들이 차고 넘친다. 넘실거린다. 모든 실수와 장난은 너무 쉽고 빠르고, 다른 일로 덮인다. 다른 일들도 개노답이기 때문에. 죄송하단 사과조차 못 들은 수많은 일들과 그 한이 몸속 깊이 쌓인 불쌍한 사람들. 그 전부를 잊지 못하는 그 사람들을 다 어쩌려고. 그 생각에 눈물이 난다. 반복되는 일들. 옷도 물도 무기도 비상식량도 없이 맨몸으로, 속수무책으로, 매번의 경보와 진동과 소음을 받아들이며 도대체 무슨 일인지 추측하며 온몸을 떠는 것은 어쩌면 사이렌 때문만은 전혀 아니다. 지금까지 매일 이래왔고, 이런 날들이 나머지 매일이 될 거라는 확신에 강렬한 두려움을 느낀다. 그 죽음을 발발 떨며 기다릴 바에야 지금 당장 모든 것을 중지시키고 싶은 욕구는 전혀 나 하나 때문이 아니다. 꿈에서도 환청으로도 계속되는 대책이라곤 없는 비상 대비 훈련은 내게 천천히 앙상하게 세워진 정신과 몸만을 남겨줄 것이다. 여기에서 살아남는다면.

그런데도 우리들은 아직 살아남아 있고, 우리는 우리가 살아남은 것에 대해, 잊히지 않을 정도로 강해지면서 구체적인 형상을 잃어가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우프의 곽예인, 김보람, 성재윤, 홍지영, 황아림, 황선미와 야광, 차연서, 황예지, 재훈은 모텔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트라우마’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모텔은 우리가 성폭행을 당한 곳이자, 호텔 갈 돈이 없는 이들이 가는 곳, 제대로 된 식탁이나 의자가 없어 침대에 걸터앉아 식사하는 곳, 성 노동을 하는 곳, 누군가가 살아가는 곳, 그러나 평생 머무를 수는 없는 곳, 레즈비언이 방술 약속을 잡는 곳, 집을 나와 자살하러 가는 곳, 잘 보이지 않는 퀴어한 신체들이 모여드는 곳, 침대와 전화기, 작은 탁자와 작은 액자, 화장실이 있는 곳입니다. 켜켜이 쌓여 있는 깨끗이 지워지지 않는 흔적(상흔)의  끈적거림이 도처에 널려 있는 곳입니다. 

우리가 반복하여 대기실로, 피해 현장으로 그리고 트라우마 속으로 들어가는 까닭은, 그곳에서 무언가를 봤기 때문입니다. 곳에 사랑하는 사람이 있고, 친구의 시체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곳이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곳에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 우프는 이번 기획을 통해 그 곳으로 사람들을 불러모아 그 끈적거림과 하나가 되길, 함께 도저히 기억할 수 없는 모든 것을 기억해 주길 권유합니다. 

 *조애나 버크, 『수치』, 서울, 디플롯, 2023, p.25의 ‘공포는 불균등하게 배분된다.’ 문장을 바꾸어 작성함.

**전시에는 트라우마 유발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관람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W/O F.’s third project, “The Motel : Because I want to live there”, is about trauma.

Of course, trauma was present all along in our previous work about sadness and filth. But this time, we face it head-on. We refuse to let it pass. We go deep—into dreams where we don’t know where we are; into the cave; into the shaman’s lair; into the darkroom; into the windowless basement; into the gosiwon room barely big enough to lie down in; into the apartment with the flooding bathroom and moldy walls; into the damp, cramped womb; into the place where we linger neither dead nor alive; into the funeral; into the hospital room; into the minds of the mad, littered with shards of memory and fantasy; into the red light district; and into the motel. Yes, the motel.

Terror is [...] unevenly distributed. [...] Some people are more vulnerable than others.*

May 31st, 2023, dawn. Air raid sirens blare across my neighborhood in Seoul as I pack a bag with cameras, film, water, and food. Minutes ago, I woke up to a government alert on my phone telling me to evacuate. Finally… Finally, it’s happening, I thought. I’d been waiting for this moment, stretched taut like characters in a horror movie before the demon appears; like the victim in a crime thriller just before the attacker snatches them from behind. But I’m not the only one—I’m in a waiting room packed with people who’ve been expecting to be torn to shreds, to be mangled for good. A few minutes later, our phones buzz as a new alert arrives. The previous message was a false alarm. Proceed as normal. On the TV, headlines decry “missteps in government communication”. I realize we are back at the waiting room. The sweltering cage where it’s 37 degrees Celsius with no air conditioning. The factory floor where not a single machine has a safety valve. In this room where a colleague has died, another clears away the body. Another is hard at work, and the rest of us wait our turn. We endure the waves of rage and despair roiling in our stomachs. In this life, we’ve already learned not to hope for anything. The ones who sent the message, though, they’re having a laugh. Rattling the bars on this cage, this hospital full of neurotics. They turn our world upside down with one finger, and as if that’s not enough, they shove their weapons in our faces. As if that’s not enough, they beat us to a pulp. That same day, a laborer on hunger strike was beaten bloody by cops. This world wants the vulnerable to kill ourselves in our rooms, to die without leaving a body or stench. But the corpses that couldn’t be cleared away have piled up. Their limbs spill over each other, their odors billow out. These “false alarms” and pranks come fast and easy. Before you know it, some other incident has occurred, and the earlier absurdity is pushed to the back. Because this new incident makes no fucking sense either. Countless times we’ve had to swallow their slip-ups without getting an apology. Countless protests deferred settle deep inside our bodies. What are they gonna do about the people who can’t forget any of this? Tears swell. Again and again, these “errors”. These “proceedings as nomal”. It’s not just the siren that makes my body shake as I try to figure out what the hell is going on. No clothes, water, weapons, or fuel in my hands. I’m a bare body, there are no defenses against what I can’t prepare for. It’s been like this every day up until now, and these days will pile up as the rest of my life. This certainty strikes me with a fiery terror. It’s not just for my sake that I want to stop everything right this moment instead of waiting for death’s arrival. The evacuation siren continues to echo in my dreams and delusions, offering no solution. Slowly, it is gutting me. It’ll leave me with a mind-body that can barely stand—if I survive, that is.

And yet. We are still here, and we have to speak about what we have survived. What grows strong enough to haunt all the while fading in form. W/O F.’s Kwak Yein, Keem Boram, Sung Jaeyun, Hong Jiyoung, Hwang Arim, Hwang Sunmi, art collective YAKWANG, Cha Yeonså, Yezoi, and Jaehun each speak about trauma in this exhibition entitled The Motel. The motel is where we were sexually assaulted; it’s where people who can't afford a hotel go. It’s where meals take place on beds; it’s a workplace for sex workers. A motel is a home for some, though not for ever; it’s where lesbians host impromptu meetups and get shitfaced with strangers. It’s where people go to commit suicide; it’s where queer bodies made invisible convene. It’s a place with a bed and a phone, a small table and a picture frame, and a bathroom, too. It's a place sticky with traces and wounds, layered over and scattered across every surface you can touch.


We go into the waiting room, into the site of violence, and into our traumas again and again because we’ve seen something there. Because the person we love is there, because our friend’s body is there. We go because it’s where we’re safe. We go because it’s where we want to live. Through this exhibition, W/O F. invites you to become one with the oozing, sticky muck. To remember everything we cannot remember together.

*Joanna Bourke, Disgrace: Global Reflections on Sexual Violence. Reaktion Books, London, 2022, p.25.

**Exhibitions may contain trauma-inducing factors. Please refer to it when watching.


[참여작가] 곽예인 김보람 성재윤 야광 재훈 차연서 황선미 황아림 홍지영 황예지 
[일시] 10월 27일 오후 7시-10월 28일 오전 7시 (12시간)
[장소] 홍대 미성장 모텔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9길 20)
[기획, 글] 홍지영 
[기획 도움] 곽예인 성재윤 
[프로젝트 매니저] 손서정 
[번역] 호영 
[디자인] 황아림 
[옥상 설치 영상, 입장 도장 제작] 김보람
[기록 사진] 황아림 
[기록 영상] 한솔 
[문지기] 호영, 배나무, 뭍, 최선영 
[주최] W/O F.

[Artist] Kwak Yein, Keem Boram, Sung Jaeyun, YAGWANG, Jaehun, Cha Yeonså, Hong Jiyoung, Hwang Sunmi, Hwang Arim, Yezoi
[Date] 10/27 19:00 ~ 10/28 7:00 (12 hour)
[Venue] 미성장 모텔 Misungjang Motel (20, Yanghwa-ro 19-gil, Mapo-gu, Seoul)
[Curating, Text] Hong Jiyoung 
[Curating Support] Kwak Yein, Sung Jaeyun 
[Project Manager] Son Seojung 
[Graphic Design] Hwang Arim 
[Rooftop Video, Door Stamp] Keem Boram 
[Documentary Photo] Hwang Arim 
[Documentary Video] Han Sol 
[Doorperson] Hoyoung, Bae Namoo, Mudt, Choe SeonYoung 
[Translation] Hoyoung 
[Hosting] W/O F.


언급 매체
- 시각매체 팀 W/O F.의 첫 전시, ‘모텔전: 눈 뜨고 꾸는 꿈’ @홍대 미성장모텔 - Visla Magazine
- 팀 우프, 27일 홍대서 첫 전시...‘모텔전: 눈 뜨고 꾸는 꿈’ - 여성신문
- 2023년 한국 현대미술비평 집담회 1부: 송년회: 올해 우리가 본 것들 - SeMa Coral